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K-pop 팬들이 만든 새로운 산업

by AIIA 2023. 4. 23.

포스팅 목차

    현재 전 세계적으로 K-pop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나 BTS의 인기는 어마어마합니다. 빌보드 순위에도 오르락내리락하고 있습니다. K팝 팬덤이 확산되면서 수많은 외국인들이 사랑하는 대중음악으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기가 확산되면서 팬덤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아이돌 문화라고 알려졌던 팬덤 문화가 여러 분야로 확산되면서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concert

    Fandustry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나의 무리를 이루어 집단행동을 하는 Fandom과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Industry가 합성된 단어입니다. 이는 하나의 경제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K팝은 아시아를 시작으로 유럽, 북미, 남미까지 전 세계적으로 팬덤을 형성하고 있으며 기부나 지하철 전광판 홍보, 스트리밍, 굿즈 등 여러 방법으로 아티스트를 지원하면서 새로운 문화와 경제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팬으로서의 입장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단계를 넘어 아티스트 성장의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팬들과 아티스트 간의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문화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를 통하여 팬들 간의 끈끈한 관계는 물론 팬들로부터 정보와 투자, 생산요소를 공급받는 기업들 간의 강한 유대 관계도 형성되고 있습니다. 팬들이 알아서 소비를 해주는 팬슈머가 되어 아티스트들의 굿즈 상품들을 소비하고 있습니다.

    경제 시장에서 주목받는 팬덤

    2021년에 발표된 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0대 트렌드에 팬덤 경제의 부상을 소개하며 주목받았습니다. 연예인 기획사들이 소비자들을 팬이라고 생각하고 아티스트와 관련된 모든 경험들을 공유하는 팬덤 특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팬덤 경제를 형성한 것으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기획사들이 팬들의 의견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따로 전담팀까지 만들어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팬덤 니즈에 부합하는 여러 기획과 제품을 출시하면서 팬덤 경제 규모를 키우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아티스트들이 우상적인 존재라고 생각되었다면 이제는 공감을 나눌 수 있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SNS나 라이브 방송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소통을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제는 더 이상 동떨어진 우월한 존재가 아닙니다.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K팝 팬덤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K-pop 팬덤시장 규모

    K팝은 세계적으로 흥행을 하고 있습니다. 한 증권사에서 발표한 팬덤 경제학 보고서에 의하면 2020년 팬덤 경제 규모가 대략 7조 9,000억 원이라고 추산을 했습니다. 대형 기획사가 출시한 팬덤 커뮤니티 한 곳은 20년도 매출이 약 3,000억 원에 달하기도 했습니다. 경제적 가치로 따져보면 엄청나게 크며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는 중입니다.

     

    이에 따라 기획사들은 커뮤니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하여 팬들과 아티스트 간의 친밀감을 높이는 방법들을 통해 팬들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1:1 채팅 형태로 프라이빗 메시지를 주고받는 서비스를 하기도 하며 아티스트가 직접 이름이 담긴 일상 메시지를 보내거나 사진이나 동영상, 음성메시지 등의 콘텐츠고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소속사 측에서도 무시하지 못할 수입원으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세계 음반 시장은 불황이지만 K팝의 음반 시장은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0대들의 문화에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는 팬덤 시장은 기획사들이 핵심 성장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