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목차
우리나라의 복권은 복권위원회가 정한 기금 사업의 목표와 필요에 따라서 복권이 발행되고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인생 역전을 위해서 매주 여러 가지 복권들을 구매하고 있을 겁니다. 저도 한 번씩 로또나 연금복권을 사고 있습니다. 요즘은 매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구매를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편하게 살 수 있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연금복권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임금은 그렇게 상승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집 값도 어마어마하게 오르고 있어 사회초년생들의 고민이 한두 가지가 아닐 것 같습니다. 그래서 더 복권 당첨에 열망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사회초년생들도 돈을 벌기 위해서 투자에 눈을 돌리고 있기도 합니다. 갈수록 살아가기가 힘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로또나 연금복권에 기대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연금복권 720
2020년 5월부터 연금복권 720이 출시되었습니다. 기존에 있던 것은 1등 당첨금이 매 월 500만 원이었습니다. 720으로 업그레이드가 되면서 당첨금은 700만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1등에 당첨이 된다면 20년 동안 월 700만 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직장을 다니고 있다면 매 월 추가적인 월급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2등의 경우 월 100만 원씩 10년 동안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3등부터는 일시금으로 받게 됩니다. 당첨금액이 확 떨어지기 때문에 1등이나 2등이 아니라면 큰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연금복권 세금
연금복권 실수령액을 알아보기 전 세금에 대한 부분부터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복권 당첨금은 일단 기타 소득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소득세법에 의해 소득을 지급하는 자는 수령인에 소득을 지급할 때 소득세를 원천징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원천세율을 보면 3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해 33%, 3억 원 미만인 경우에는 22%로 정하고 있습니다. 22년까지는 당첨금이 5만 원을 초과하면 세금이 발생했는데 법이 바뀌면서 200만 원 미만은 비과세로 분류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200만 원을 초과하고 3억 원 미만이라면 22%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연금복권 실수령액
그럼 연금복권 실수령액이 대충 계산이 될 것입니다. 1등 당첨의 경우 매 월 700만 원을 20년간 받게 됩니다. 당첨금이 3억 원 미만이기 때문에 22%의 세금을 제하면 됩니다. 700만 원에서 세금 22%인 154만 원을 제외하면 실수령액은 546만 원이 됩니다.
매월 20일 날에 총 240회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액을 합한 금액은 13억 원이 조금 넘을 것입니다. 2등의 경우 월 100만 원으로 세금을 빼고 나면 78만 원이 실수령액이 됩니다.
연금복권 온라인 구매 방법
이제는 직접 매장에 가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구매를 할 수가 있습니다. 현재 복권수탁업체는 동행복권입니다. 동행복권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시고 가입한 후 예치금을 넣어두면 살 수가 있습니다.
상단 메뉴 중 복권구매를 보시면 다양한 상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저는 여기서 로또와 연금복권만 구매를 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보이는 연금복권 720을 클릭해 봅시다.
그럼 이렇게 구매를 할 수 있는 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 조를 선택하고 6자리 번호 선택 후 구매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상단 모든 조라고 적힌 칸 왼쪽을 보면 자동번호라고 적혀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랜덤으로 번호가 지정되어 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연금복권 실수령액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봤습니다. 다시 한번 알려드리자면 3억 원 이상은 33%, 3억 원 미만은 22%의 세금이 발생합니다. 700만 원에서 22%를 뺀 546만 원이 실수령액이 됩니다. 이 정도만 돼도 먹고사는 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월급 외에도 추가적인 수익을 올리기 위해 많은 분들이 노력하고 있을 겁니다. 운만 따라준다면 사실 이만한 불로소득은 없을 것입니다. 이제는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쉽게 살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